본문 바로가기

DB

MongoDB 간단 개념 및 가입,DB생성

들어가기 전...
DB 에는 관계형 DB와 비관계형 DB가 있습니다.
간략하게 알아보고 들어가겠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SQL)는 데이터를 테이블 형태로 저장하며, 테이블 간의 관계를 설정하여 데이터를 검색하고 처리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러한 방식은 데이터의 복잡성이 증가하면서 유지보수와 확장성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습니다. 또한, 테이블 간의 Join 연산에 대한 부하가 크고,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는 적합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에는 Oracle, MySQL, PostgreSQL, Microsoft SQL Server 등이 있습니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는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모델이 아닌 다른 모델을 사용하는 데이터베이스를 말합니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 의 단점을 보완하여 더욱더 편하게 데이터 관리를 할 수 있는 강력한 도구입니다.
대용량 데이터 처리에 적합
하며, 데이터 구조의 유연성을 가지고 있고 , 수평적 확장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NoSQL은 object 자료형으로 입출력이 가능합니다. 

비관계형 데이터베이스(NoSQL)에는 MongoDB, Cassandra, HBase, Couchbase 등이 있습니다.

MongoDB의 장점

자유로운 스키마 (스키마에 대해서는 나중에 좀 더 깊게 다뤄볼 예정...)

-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 저장 가능 하다.
- 데이터 모델의 유연한 변화 가능 하다. (데이터 모델 변경, 필드 확장 용이)

- JSON 구조로 되어 있어 가시성이 좋고 API 호출 정보를 가공 없이 그대로 저장할 수 있어 개발시간에 대한 단축

  아키텍처링 및 비즈니스 로직도 간단해질 수 있다.
▪ 무료로 사용 가능 하다.

▪ 커뮤니티가 잘 발달되어 있어 문제 생길 시 해결하기 편리하다.

 

MongoDB 단점

 데이터 업데이트 중 에러 발생 시, 데이터 손실 가능성이 있다.

 많은 인덱스 사용 시, 충분한 메모리 확보 필요 하다.

 데이터 공간 소모가 RDBMS에 비해 많다(비효율적인 Key 중복 입력)

 복잡한 JOIN 사용 시 성능 제약이 따른다.

 제공되는 MapReduce 작업이 Hadoop에 비해 성능이 떨어진다.

 

가입  및 세팅 방법

1. 구글 검색창에 "mongodb atlas" 검색 후 홈페이지 접속 한다.

2. 가입 절차에 따라서 가입한다.

위 절차가 마무리 됐으면 아래와 같이 무료 서비스를 선택하고 서버 위치를 설정한다.

Database Access 메뉴에 들어가서 DB접속용 아이디/비밀번호 설정 합니다.

Network Access 메뉴에 들어가서 현재 DB에 접속할 IP를 추가한다. IP주소가 바뀔 때는 바뀐 IP주소를 추가해 줘야 합니다.

Database 메뉴에 들어가서 Browse Collections를 클릭합니다

그리고 데이터를 저장할 저장 폴더를 만들어주세요. 에디터의 폴더, 파일을 만든다고 보면 됩니다.

아래는 예시일 뿐 원하는 폴더명 파일명을 입력하시면 됩니다.

다음 게시물에서는 간단한 세팅, 사용 방법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DB' 카테고리의 다른 글

MongoDB 를 Mongoose로 쉽게 사용 해보기  (0) 2023.07.20